
1. 아틀라스랩스(Atlas Labs): 국내 스타트업인 아틀라스랩스는 음성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프리토타이핑을 통해 고객 수요를 검증했습니다. 특히 전화 통화를 많이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앱을 구상했으며, 이를 광고와 랜딩 페이지로 검증했습니다. 페이스북 광고를 통해 사전 예약 등록까지 이어지며 고객의 수요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성공적인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(박세희 변호사 블로그 , 아틀라스랩스 블로그 | Atlas Labs)
| 타겟 시장 : 통화를 자주 하는 비즈니스 사용자를 주 타겟 가설 : 통화 기록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솔루션이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판단. “통화를 텍스트로 변화하는 서비스가 특정 비즈니스 사용자들 사이에서 높은 수요를 보일 것이다” 실험 방법 : 페이스북 광고, 랜딩 페이지로 실험, 광고를 통해 관심을 유도하고, 랜딩페이지를 통해 사전 등록을 받음 투입 자원(돈, 노동력 등) : 제품 개발 대신 페이스북 광고 비용, 랜딩 페이지 제작 비용 실험 결과 : 충분한 수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. 사전 예약 등록 수와 페이지 방문자의 반응을 통해 타겟 시장의 니즈를 확인하였고 실제 개발로 진행함 |
2. 에어비앤비(Airbnb): 에어비앤비의 창업자들은 프리토타이핑의 한 방식인 "원 나이트 스탠드"를 사용했습니다. 자신들의 아파트를 하루 동안 대여하는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어 첫 고객을 확보했고, 이를 통해 사업의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. 이 초기 테스트는 이후 에어비앤비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(아틀라스랩스 블로그 | Atlas Labs).
| 타겟 시장 : 컨퍼런스나 행사에 참여하는 사람들,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 디자인 컨퍼런스에 방문한 사람들이 호텔 방을 구하지 못하는 상황을 주목하고 그 대안으로 저렵한 아파트에 숙박제공 가설 : “이용자들이 호텔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현지인의 집에서 숙박하는 서비스를 원할 것이다” 실험 방법 :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어 자신의 아파트를 하루 동안 대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. 이 웹사이트는 고객들이 직접 예약할 수 있는 기능만을 갖춤 투입 자원(돈, 노동력 등) : 실제 아파트를 임대하는 데 필요한 자원. 웹사이트도 간단하게. 마케팅 비용도 거의 없음 실험 결과 : 웹사이트를 통해 첫고객 확보, 사용자들이 현지에서 숙박을 하는데 만족감을 느낀 다는 것을 확인. 해당 테스트로 인해 고객의 수요와 서비스를 통한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고 생각함. 이로서 본격적인 서비스 개발을 진행함 |
3. 팜(Palm): 팜의 창업자인 제프 호킨스는 PDA 제품을 출시하기 전, 나무로 된 가짜 PDA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사용자가 실제로 필요할지 검토했습니다. 이를 통해 제품이 실제로 시장에서 요구되는지 확인한 후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습니다(아틀라스랩스 블로그 | Atlas Labs).
| 타겟 시장 : 비즈니스 전문가와 기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 가설 : “소형의, 손에 쏙 들어오는 디지털 기기가 사용자들에게 큰 가치를 줄 것이다” 실험 방법 : 실제 제품과 같은 모형, 나무 블록으로 테스트를 함 투입 자원(돈, 노동력 등) : 떤 기술적 개발이나 대규모 자본도 투입하지 않았음. 나무 블록 하나만으로 제품의 크기와 사용성을 검증하는 데 집중함 실험 결과 : 휴대성이 뛰어난 기기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고, 나아가 제품 개발 방향을 명확히 설정함. 출시와 동시에 큰 인기를 끌었음. |
4. 가지랩 : "아이디어 불패의 법칙"에서 소개된 방법론을 적용해, 시장에서의 반응을 XYZ 가설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으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. 이들은 자원을 절약하면서도 구체적인 수치와 가설을 통해 시장의 니즈를 파악해 사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전략을 사용했습니다.(Stibee).
| 타겟 시장 : 신규 사업을 고민하는 스타트업과 기업, 사업 아이디어가 실현 가능한지 빠르게 검증하고 싶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설계 가설 : “많은 기업들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전,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빠르게 검증하기 위한 툴을 필요로 할 것이다” 실험 방법 :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이라는 책에서 소개된 프리토타이핑 기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음. 가지랩은 이를 바탕으로 소규모 실험을 설계해 고객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제품인지 여부를 확함. 투입 자원(돈, 노동력 등) : 작은 파일럿 실험과 가설 검증을 통해 시장의 수요를 파악하는 데 집중함. 소셜미디어 광고, 간단한 웹사이트를 통해 잠재고객 확인 실험 결과 : 성공적인 피드백을 받았고, 이를 바탕으로 사업을 확장. |
5. 미국의 스타트업 Dollar Shave Club : 저렴한 면도기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간단한 광고와 웹사이트로 고객의 관심을 테스트해, 실제 론칭 전부터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.
| 타겟 시장 : 남성용 면도기를 주로 사용하는 소비자들을 타겟, 면도기를 정기적으로 구매해야 하고 기존 면도기 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남성들이 주 대상 가설 : “사람들이 고가의 면도기 대신 저렴하고, 정기 배송이 가능한 면도기를 선택할 것이다” 실험 방법 : 단순한 웹사이트와 바이럴 비디오를 사용, 매우 저예산으로 제작된 유머러스한 유튜브 광고 영상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홍보. 투입 자원(돈, 노동력 등) : 초반에는 약 4,500달러의 제작비로 촬영된 광고 영상과 간단한 웹사이트로 실험. 실험 결과 : 영상은 입소문을 타고 급속도로 퍼져나갔음. 웹사이트는 서비스 출시 후 몇 시간 만에 수천 명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. 실제로 수많은 고객들이 사이트를 방문해 정기 배송 서비스에 가입. 반응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사업 확장. 최종적으로 2016년에 유니레버(Unilever)에 10억 달러에 인수됨 |
'창업을 위한 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실패한 미국 스타트업의 사례 (12) | 2024.10.04 |
|---|---|
| 고스펙 창업자들이 실패하는 이유 (2) | 2024.10.04 |
| 팔리는 카피라이팅의 4가지 요소: 호기심, 공감, 믿음, 넛지 (3) | 2024.10.02 |
| 고객 유입 채널 설계와 퍼널 크랙 진단 기법 (3) | 2024.09.30 |
| 최소 자원으로 MVP를 만드는 법 (2) | 2024.09.30 |